본문 바로가기

The : 일반

대선 사전투표 장소 찾기 및 투표방법은? 🔍

728x90
반응형

📍 대선 사전투표 관련 궁금한 사항 정리

 

대선이 치뤄지는 3월 9일은 임시공휴일이다.

대부분의 민간기업은 쉬는날이고 관공서는 다 쉰다고 보는게 맞다. 물론 선거와 관련된 관공서는 더 바쁜날이다.

물론 모두가 쉬는 것은 아니다. 신문사나 방송사와 같은 곳들은 그날 쏟아져 나오는 정보를 보도해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출근이든 외근이든 일을 해야한다. 생산직도 마찬가지인 경우들이 많다.

자영업자 역시나.. 아 자영업자는 휴일과 무관하게 일하기에 일단 논외로 하자.

 

택배도 쉬는날은 아니다. 그래서 대선에는 부득이하게 그날 투표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해 대선 사전투표를 진행한다.

 

📢 사전투표 일시 : 3월 4일(금) ~ 3월 5일(토), 매일 오전6시부터 오후6시까지

📢 사전투표 장소 : 사전투표 장소라면 신분증 들고가면 어디서든 가능

 

투표권이 있는 시민이라면 장소는 크게 상관없다.

원래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를 해야하나 사전투표는 타지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지정된 투표소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가능하다. 왠만하면 주변 주민센터에서는 거의 대부분 투표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투표 장소를 잘 모르겠다면 주민센터를 찾아가자. 주민센터 이외에는 본 투표를 진행하는 투표소에서도 받는데 실내체육관이나 학교 체육관처럼 공간이 확보된 장소에서 할 수 있는데, 이는 네이버지도나 다음지도와 같은 포털검색사이트 지도를 통해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 사전투표 방법 : 신분증만 소지하고 방문하면 되며, 투표용지를 일부 훼손하거나 정해진 표시용품이 아닌 펜과 같은 도구로 체크를 한 경우에는 모두 무효표 처리가 된다.

 

그렇다면 궁금한 점!!!!

3일 기호 4번 안철수 후보가 2번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를 선언했다.

이미 투표용지는 찍어낸 상황에서 이렇게 단일화를 선언하는 것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이런것을 자세히 아는 사람이라면 상관 없지만 사전투표 장소나 방법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면...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라면 그냥 이름만 보고 투표를 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안철수에 투표를 한 사람들의 표는 모두 무효다.

728x90
반응형